▲환승용인지 출구용인지 알 기 어려운 엘리베이터 안내 표지(좌)와 많은 정보가 글로 적힌 안내 표지(우) ⓒ사단법인 무의- 무의·서울시·교통공사·현대로템, ‘모두의 지하철을 위한 안내표지 개선사업’ 협약 체결
[더인디고] 지하철 내 엘리베이터 안내가 환승 목적지로 가는 엘리베이터인지, 출구로 나가는 엘리베이터인지 혼동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제기돼 왔다. 앞으로는 복잡한 환승 구간 등에서 엘리베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표지가 개선된다.
사단법인 무의(이사장 홍윤희)는 서울시, 서울교통공사, 현대로템㈜와 함께 ‘모두의 지하철을 위한 안내표지 개선사업’을 함께 추진하기로 하고, 8일 서울시청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휠체어, 유아차 등 이동약자가 엘리베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표지를 개선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 사업은 무의 홍윤희 이사장이 휠체어를 탄 딸을 위해 10년 전 품은 목표에서 출발했다. 2015년 카카오 스토리펀딩을 통해 휠체어-유아차 이용자를 위한 안내표지를 제작하려 했지만, 시민 자격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제약에 부딪혔다. 이후 홍 이사장은 2017년부터 시민들과 함께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만들었고, 이 지도는 2017년 서울교통문화상, 2018년 한국장애인인권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그로부터 10년, 이제는 민관 협력을 통해 공식적인 안내표지 개선사업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무의에 따르면 올해는 현황 조사 및 자료 분석을 통해 개선안을 수립하고, 10개 역사에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이후 오는 2027년까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전체 276개 역사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 안내체계의 일관성은 유지하되, 갈림길에서 엘리베이터로의 방향을 알려주는 안내표지 배치 기준 등을 보완할 예정이다.
협약에 따라 ▲무의는 안내체계 연구개발을, ▲서울교통공사는 시범 역사 선정 및 설치 협력, ▲서울시는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총괄 운영하며, ▲현대로템은 3년간 총 9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홍 이사장은 “무의가 만든 지도가 ‘무의미’해지도록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안내표지를 붙이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강 석 재정기획관은 “서울시와 민간기업, 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모범적 민관 협력 사례”라며 “이번 사업이 향후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더인디고 THE INDI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