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전경 (사진 : 서울시)
서울시청 전경 (사진 : 서울시)

이흥재 기자 : 서울시가 장애인의 '보통의 하루'를 보장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내놨다.

서울시는 16일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오는 2030년까지 일자리·주거·이동·인권 4대 분야에 총 2조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서울시 등록 장애인 38만5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정책으로, 장애인복지위원회와 당사자 의견을 반영해 현장 수요 중심으로 설계됐다.

서울시는 우선 경제적 자립을 위한 일자리 확대에 나선다. 공공일자리를 현재 연 5천 개에서 2030년까지 1만2천 개로 늘리고, 발달·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전문 직업학교를 신설한다. 아울러 기존 직업재활시설도 임가공 위주에서 코딩·소프트웨어 등 4차 산업 기반 교육으로 전환한다.

주거 안정과 돌봄 강화 방안도 포함됐다. 장애인 지원주택은 500가구까지 확대하고, 재가장애인 4천 가구에는 집수리 비용을 지원한다. 공동생활가정은 250곳까지 늘리고, 자립체험주택도 운영한다. 특히 최중증 장애 자녀를 돌보는 만 65세 이상 부모에게는 월 30만 원의 돌봄수당을 신설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동권 보장도 강화된다. 시는 2032년까지 시내·마을버스 전 차량을 저상버스로 전환하고,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UD(Universal Design) 택시를 2030년까지 1천 대 도입한다. 또한 AI 기반 로봇 보행 보조기기를 2천여 명에게 보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인권 보호 및 문화·여가 접근성 확대를 위한 조치도 추진된다. 거주시설 내 중대한 인권침해가 발생할 경우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해 즉시 폐쇄 조치하고, 생활체육교실, 배리어프리 공연 등 문화 콘텐츠 접근 기회를 확대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장애인의 평범한 하루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일상이 되도록 장벽과 문턱을 없애겠다"며 "복지 수혜자가 아닌 사회의 주체로 장애인을 바라보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